[1] 제4차 산업의 개요 및 특징
1. 포괄적 사물인터넷 (IoT)
ICT(Information & Communications Technology) 기반으로 실세계(Physical World)와 가상세계(Virtual World)의 사물들을 연결하는 서비스 인프라
사물 통신(M2M) → 사람-사물, 사물-사물 간 지능 통신 확장
센서 기술 + AI 접목 → 산업 경쟁 구도를 바꾸는 핵심 동력
2. 사물 인터넷 사업방식의 변화
경쟁 방식 변화: 제품 판매 → 서비스 제공
경쟁 심화: IoT 기반 독창적 제품/서비스 출시 가속
경쟁 범위 확대: 구글·애플 등 IT 기업이 스마트 자동차 산업 진출
맞춤형 대량생산 가능: 소비자 필요(Needs)에 유연 대응
[2] 산업혁명의 정의
1. 산업혁명
18세기 영국에서 시작
과학기술 혁신과 사회·경제 구조 변화로 생산성 증대
2. 산업혁명의 진행
제1차 산업혁명 (18세기)
증기기관 발명 → 기계화 혁명
영국 섬유공업 발전 → 동양에서 서양으로 패권 이동
제2차 산업혁명 (19~20세기)
전기에너지 보급 → 대량생산 혁명
컨베이어벨트 기반 생산 확산 → 패권 영국 → 미국
제3차 산업혁명 (20세기 후반)
컴퓨터·인터넷 보급 → 지식정보혁명
글로벌 IT 기업 부상 → 패권 다원화
제4차 산업혁명 (2015년 이후)
IoT, CPS, AI 등 초지능 통신혁명
사람·사물·공간 초연결/초지능화
“도전과 리더십을 발휘하는 나라”가 선도국가로 도약
[3] 제4차 산업혁명
1. 정의 및 특징
2016년 세계경제포럼(WEF)에서 공식 언급
현실세계 사물 + 가상세계 연결 → 생산·서비스 자동화
AI, 로봇,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
2. 혁신 촉매형 ICT
CPS, 빅데이터, AI의 시너지
실시간 데이터 → IoE(만물인터넷) 생태계 발전
빅데이터 + AI → 디지털 지능 & 아날로그 지능 간 선순환
3. ICT 접근법
클라우드 서비스 기반
제조업 데이터 → AI 처리 후 글로벌 서비스 제공
전 세계 공장·설비 제어 → 미국 주도의 산업 플랫폼 및 표준화
4. GE 산업 인터넷 구조
센서 데이터 송신
유지·운용 비용 절감
데이터 분석으로 예방보수 확인
기술자 작업 효율 향상
산업 인터넷으로 협업 및 데이터 축적
5. 주요 특징
속도(Velocity): 초고속 기술 진보
범위(Scope): 전 산업 분야 대대적 개편
시스템 영향(System Impact): 생산·관리·지배구조 변화
6. 발전 예상도
디지털 행성 생태계(Digital Planet Ecosystem)
스마티즌 100억명, 1인당 10대 스마트 디바이스 → 1조 개 센서
고용·노동, 경제, 교육·문화 시스템 변화
5G 가입자 100억명, CPS 기반 산업 변화
[4] 주요 국가별 전략
1. 미국
2013년 “스마트아메리카 챌린지” 프로젝트 개시 (CPS 응용: 제조, 교통, 에너지, 의료, 국방 등 7개 분야)
구글·애플·MS·아마존·IBM → AI, 자율주행, 스마트공장 등 신사업
2014년 “산업인터넷컨소시엄(IIC)” 설립
GE의 “산업 인터넷” 모델 → 데이터 기반 서비스 혁신
2. 독일
2011년 “인더스트리 4.0” 프로젝트 발표
2억 유로 투자, BMW·티센크루프 등 대기업 참여
인더스트리 3.0 vs 4.0
중앙집중 제어 → 자율/분산 제어
유연성 강화 → 다품종 소량생산 가능
3. 일본
2013년 “세계 최첨단 IT 국가 창조선언”
IoT, 빅데이터, AI 전략 수립
“로봇 신전략” & “로봇혁명 이니셔티브” 추진
로봇 활용: 단순 노동, 후쿠시마 원전 복구 등
4. 중국
“중국제조 2025” 정책: 제조업 기초기술·지재권 확보
“인터넷플러스” 정책: 인터넷 + 실물경제 융합
바이두: AI·자율주행 연구
텐센트·알리바바: IoT·빅데이터·클라우드 집중
5. 한국
4차 산업혁명을 국가 과제로 인식, 정부·민간 노력 강화
2017년: 스마트카·IoT·드론 집중 지원
삼성전자: 스마트싱스, 조이언트, VIV Labs 인수
SK텔레콤: AI 음성비서 ‘누구’ 출시
현대·기아차: 자율주행, 전기·수소차 개발
'Hello World > 사물인터넷지도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차시 (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서비스, 기술 및 유망 산업분야) (0) | 2025.10.01 |
---|